전후 복구 중이던 60년 대 한국은 가난했다. 지금은? 세계 12위의 경제 대국이다. 인구는 52백만 수준이고, 1인당 국민소득은 3.5만 불가량이다. 소득 수준으로는 이탈리아와 비슷하고, 스페인을 뛰어넘는다. 주식 시장은 어떠한가. 시총 규모는 약 $1.8tn으로 세계 16위 수준이고, 하루 거래 규모는 7위 수준이다. IMF는 1997년부터 한국을 선진 시장으로 분류했다. 거의 반세기 동안 잠들어 있던 게 아니라면, 한국을 신흥국이라 부르기 어려울 것이다.
그런데, 글로벌지수를 만드는 MSCI가 그런짓을 무려 30년 동안하고 있다. 한국은 신흥국시장 인덱스에 13번째로 추가되었는데, 현재 해당 지수에는 총 24개 국가가 있다. 신흥국 중에는 크로아티아, 모로코 같이 프런티어 국가로 강등된 경우도 있고, 구분하기가 모호해 아르헨티나처럼 홀로 분류가 되거나 베네수엘라처럼 아예 목록에서 제거된 국가들도 있다. 객관적인 기준으로 볼 때 한국 보다 좀 떨어져 보이는 그리스, 포르투갈 같은 국가들이 수년 전부터 MSCI '선진국' 지수에 편입되어 있다. 그래서 한국인들은 선진국 지수 진입이 너무 늦었다고 생각하고, 오는 6월 22일 MSCI 연례 시장 발표에서 관찰국에 등재되는 것을 바라고 있다. 여기에 등재되면 내년에 편입될 수 있는 기회를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오랜 기간 MSCI는 한국 시장에 투자하는 것에는 큰 용기가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해 왔다. 주주권리는 취약하고, 기업의 소유권은 복잡하며, 지배구조에 대한 반복적인 스캔들이 발생하고, 정부가 때때로 개입해 주주의 권리를 침해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우려를 덜어내기 위해 정부에서는 올해 1월 야심찬 개혁안을 발표했다. 해당 안은 오랜 기간 불투명했던 배당 분배에 대한 기준을 서구의 수준에 맞추는 것이 포함됐다. 또한, 기업인수와 기업분할에 대한 절차는 소수주주의 권익을 보호를 위해 개선될 것이고, 외국인 투자 등록제도에 대한 복잡한 절차 또한 연말쯤 폐기되고, 대형 기업들은 영문 공시 의무가 추가될 예정이다 (스몰캡 기업들에 대한 공시 의무는 2026년께 시행될 것으로 보임). MSCI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외환시장의 완전한 개방과 영업시간 확대 또한 예정되어 있어, 원화가 국제적으로 더욱 거래 가능하도록 개선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개혁 조치들은 한국 금융시장을 더 역동적으로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정부는 MSCI 선진국 지수에 포함되는 것 자체에도 목적이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 MSCI 선진국 지수에 편입되면, 이를 추종하는 외국인 자본이 유입이 확대될 것이기 때문이다. 세계적으로 MSCI 선진국 지수를 추종하는 자본은 약 $3.5tn으로 추정되며, 이는 기존에 편입돼 있는 MSCI 신흥국 지수 대비 2배가량 많은 수준이다. 골드만삭스의 분석에 따르면,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시 약 $46bn-$56bn의 신규 자금이 한국 시장에 유입될 것으로 보인다.
선진국 지수 편입은 또한 '코리아 디스카운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열쇠가 될 수 있다. 투자자들은 취약한 지배구조와 주주권리 그리고 북한의 위협 등을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원인으로 뽑는다.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은 이러한 원인들이 개선됐다는 신호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한국이 과거에 한번 선진국 지수 관찰국 리스트에 편입된 경험이 있다는 것이다. 때는 거슬러 올라가 2009년이다. 그렇지만 앞서 기술한 이유를 근거로 2014년 리스트에서 빠지게 됐다. 과거 다양한 정부에서 재편입을 노렸지만, 충분한 개혁이 이뤄지지 못해 번번히 실패했다.
일부 비평가들은 최근 한국 정부의 노력도 반쪽자리라고 주장한다. 한국 정부가 MSCI가 원하는 일부 조항들을 포함시키지 않았기 떄문이다. 예를 들어, 일부 산업에 대한 외국인지분 한도 폐지라든가 공매도 규제 완화 등이다. 또한, 정치적인 노이즈가 일부 투자자들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 작년, 한국 채권 시장은 레고랜드 사태로 큰 소동을 겪었으며, 올해 2월 윤석열 대통령은 금융당국에 은행 수익을 제한할 것을 요구했다. 대통령에 따르면 은행은 공공재이기 때문에, 수익추구가 무조건적인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한다. 이러한 발언에 투자자들은 실망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앞서, MSCI는 올해도 한국은 관찰국에 편입이 되지 않을 것임을 암시했었다. 6월 8일 MSCI는 한국 정부가 밝힌 자본시장 개혁안이 완전히 시행될 때까지 기다려보고, 투자자들이 이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고려해 지수 편입을 고려할 것임을 밝힌바 있다.
고려대의 한 교수는 "이는 한국에 불행 중 다행일 수 있다. 한국은 MSCI 편입을 서둘러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한국의 경제는 수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외환시장을 서둘러 개방하게 되면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잠재적 수혜들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MSCI 편입에 따른 신규자금 유입은 한국의 시장 규모를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크지 않으며, 대부분 대형 기업들만 수혜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오히려, 자금이 유출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스라엘을 예를 들면, 2010년 선진국 지수에 편입된 이후, 그다음 해 바로 $2.5bn의 외국인 자금 유출을 경험했고, 모든 증시 상승분을 반납했기 때문이다.
MSCI 선진국 편입 그 자체가 한국 시장이 가지고 있는 나쁜 평판을 단번에 고칠 수는 없을 것이다. 과거 다우 또는 FTSE 러셀 지수가 만드는 선진국 지수에 편입됐음에도 한국이 가지고 있는 그런 문제들이 개선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평판 개선을 위해서는 개혁이 보다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얻어내야 할 것 이다.
출처 : The Economist (South Korea has had enough of being called an emerging market)
'글로벌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국의 고물가가 지속되는 이유 (0) | 2023.06.25 |
---|---|
어떤 스포츠가 가장 돈이 될까? NFL, NBA, MLB, 축구? (0) | 2023.06.18 |
국가별 가계 자산 비중 현황 : 한국이 비정상? 미국이 비정상? (0) | 2023.06.11 |
미국 SEC의 규제에 따라 폭락 중인 크립토(가상) 자산 (0) | 2023.06.11 |
일본 증시의 최근 상승세에 대한 소고 : 이번엔 다를까? (0) | 2023.06.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