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24

하이일드 채권은 위험한가? 하이일드 채권은 위험한가? 미국 국채나 투자등급 회사채가 하이일드 (=정크본드) 채권보다 안전하다고 할수 있을까?채권의 수익은 크게 이자와 매매차익 (=capital gain)으로 나뉜다. 국채는 벤치마크 채권이 되고, 그보다 등급이 낮은 회사채에는 가산금리, 즉 스프레드가 붙는다. 리스크 프리미엄이라고도 한다. 즉, 신용등급이 낮은 발행자들은 더 많은 이자를 부담해야한다.채권의 만기는 다양한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하이일드 채권의 발행자들은 등급이 낮기 때문에 만기가 긴 채권을 발행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투자자 수요가 없기 때문이다.많은 개인과 기관 투자자들이 저금리 시대의 관습에 심취해 있다가, 2022년부터 시작된 금리 상승기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했다. 이들이 취급하는 채권은 미국 국채나 우량 회.. 2025. 4. 11.
미국 IG vs. HY 스프레드 추이 (트럼프의 상호관세 이후) 트럼프가 상호관세를 발표한 이후, 미국 주식 시장이 급락하고, 미국 채권 금리도 주요 지지선을 하회하고 급락했는데, 채권 크레딧 시장도 반응해 신용 스프레드가 확대 중이다.  [아래1] 블루색 : 하이일드 (HY) 스프레드 차트[아래2] 초록색 : 투자등급 (IG) 스프레드 차트 회색 음영으로 칠해진 부분은 과거 경기 침체 당시의 신용스프레드 추이이다. 최근 HY 스프레드가 저점 대비 크게 확대되고 있는데, 확대의 기울기만 보면 과거 침체 시기와 비교될 만하다.  하지만, 아직 절대 수준이 낮기 때문에, 크게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협상이 아닌, 보복의 보복 국면으로 진입한다면, 상황은 더 악화될 수 있어 보인다. 2025. 4. 6.
가상자산의(크립토) 제도권 편입은 장기적으로 부정적이다 비트코인을 필두로 한 암호화폐의 등장은 탈중앙화, 금융 자율성, 그리고 중앙 집중적 금융 통제에 대한 저항 정신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등장한 비트코인은 기존 은행 시스템에 대한 대안으로 자리 잡으며, 정부 개입과 기관의 조작 없이 자유롭게 금융 거래가 가능한 P2P 네트워크를 제공했다. 그러나 암호화폐 시장이 성숙함에 따라 점차 기존 금융 시스템에 흡수되고 있으며, 이는 본래의 혁신적 가능성과 성장 동력을 저해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비트코인 ETF 출시, 정부 규제 강화, 전략적 자산으로서의 기관 채택 등은 암호화폐의 미래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한다. 제도권 편입이 미치는 영향 비트코인과 기타 암호화폐가 주류 시장에 편입되면서, 기존에 벗어나려 했던 규제 및.. 2025. 2. 8.
2025년 FOMC 스케쥴 및 블랙아웃 2025년 FOMC 회의 일정을 아래와 같이 업데이트 한다. FOMC 회의는 연 8회 개최되며, 이 중 3월, 6월, 9월, 12월 총 4번의에서는 점도표와 함께 경기전망요약(SEP)를 발표한다.   FOMC 회의 개최 약 10일 전부터는 연준 인사들의 발언이 금지되는 '블랙아웃'(Blackout) 기간이 시작되는데, 아래 캘린더에서 회색 음역으로 칠해진 부분이 해당 기간이 된다. 예를 들어, 2025년 3월 FOMC 회의는 현지 시각으로 3/18-3/19일 양일 간 개최되는데, 블랙아웃 기간은 3/8 - 3/20일까지 유지된다. 2025. 2. 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