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가계 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 높기 때문에, 부동산 가격 급락 시 경제 위기가 올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은행은 더 이상 금리를 올릴 수 없다. 경제적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부동산 비중을 축소하고, 주식 비중을 늘려야 한다. 이러한 말은 어디선가 들어봤던 논리일 것이다.
아래는 국가별 가계 자산 비중 현황이다. 비금융자산의 대표적인 것이 부동산이기 때문에 편의상 "비금융자산 비중=부동산 비중"으로 정의하겠다. 위의 말이 틀린 것이 아닌 것이, 한국 가계의 부동산 비중은 64.4%로 비교 국가들 중 1위이다. 한국과 상황이 비슷한 곳이 바로 호주인데, 부동산 비중이 61.2%에 달한다. 호주도 한국과 유사하게 가계 담보 대출의 상당 분이 변동금리로 구성되어 있다. 미국의 경우 금융위기를 거치며 상당수의 부동산담보대출이 고정금리 전환되어 , 2022년 3월부터 이어진 가파른 속도의 금리 인상 속에서도 경기 충격이 제한되고 가계 소비가 유지될 수 있었다.
또한, 미국 가계의 부동산 비중은 28.5%로 주요 국가들 중 최하위이다. 대신, 금융자산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많은데 무려 70%를 상회한다. 특히, 주식, 채권, 펀드 등 금융투자상품의 비중이 41.5%를 기록해 10%를 하회하는 비교 국가의 4배 가까이 상회한다. 이처럼 가계의 높은 참여 비중을 고려할 때, 미국 증시가 장기간 우상향을 그린것이 우연의 일치가 아닌 것이다. 또한, 금융투자상품 중 펀드의 비중이 한국의 경우 0.8%인데 미국은 11.1%에 달한다. 미국에 비해 한국 기관투자자의 힘이 없는 것은 비중을 고려할 때 이해되는 부분이다. 한국의 경우 주식을 하는 사람들의 대다수가 직접 투자를 하고 있고, 미국의 경우 기관투자자들에 위탁하는 펀드로 간접 운용 중이다. 한국과 미국 중 어떤 곳의 개인들의 평균 장기투자 성과가 우월할지는 숫자를 보지 않아도 짐작할 수 있다. 자동이체 장기투자는 개인이 선택할 수 있는 비용 대비 편익이 가장 높은 투자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또 한가지 특이사항은 일본이다. 일본의 현금 비중은 35%에 육박한다. 부동산도 묶이는 돈이라 가정한다면, 무려 가계 자산의 70%가 넘는 돈이 실물 경제에 흐르는 것이 아니라, 집 안에 깊숙이 잠자고 있다는 뜻이다. 일본이 장기간 저성장을 기록한 원인은 가계의 재무제표만 들여다봐도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
60%가 넘는 부동산 비중을 가지고 있는 한국과 40%가 넘는 주식 비중을 가지고 있는 미국. 어떤 국가가 비정상일까? 금융자산과 부동산, 양 끝단에 있는 대표 국가라 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항상 정답은 그 중간 어디쯤 아닐까?
'글로벌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떤 스포츠가 가장 돈이 될까? NFL, NBA, MLB, 축구? (0) | 2023.06.18 |
---|---|
뭐? 한국이 아직도 신흥국이라구? :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의 함의 (1) | 2023.06.17 |
미국 SEC의 규제에 따라 폭락 중인 크립토(가상) 자산 (0) | 2023.06.11 |
일본 증시의 최근 상승세에 대한 소고 : 이번엔 다를까? (0) | 2023.06.10 |
영국의 물가지표, 그리고 향후 전망 (0) | 2023.04.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