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37

성공적인 은퇴를 위한 준비 (1) : 저축 "미래의 소비에 대비하기 위해서 현재 소비하지 않고 남겨 두는 소득을 저축이라 한다" 지출이 줄이면, 저축할 수 있는 금액이 늘어난다. 당연한 말 같지만, 자각하고 실천하는 게 중요하다. 미루지 말고, 당장 실천해야한다. 저축(↑)= 소득(-) - 지출(↓) 단기간 내에 소득을 늘리기는 어렵다. 통제권 밖이다. 반면, 지출을 줄이는 것은 실천가능하다. 통제권 안에 있다. 다만, 조금 불편할 뿐이다. 지출을 통제하는 것은 습관이고, 훈련이다. 10대 혹은 사회초년생부터 좋은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소비엔 관성이 있어서, 통제하지 않으면 자연스레 증가한다. 소득이 증가함과 함께 더 크게 확대될 것이다. 그러면, "소득 - 지출 = 0 또는 부채"가 될 수 있다. 저축의 대상은 가치가 1) 장기 우상향하.. 2021. 8. 12.
리츠와 인플레이션 : 금리 상승은 리츠 성과에 부정적일까? 채권 금리가 상승하면, 고배당인 리츠의 상대적 매력이 떨어져 주가 성과에 부정적인 것이라 생각할 수 있지만 과거 통계는 리츠가 금리 상승 구간에서도 상당히 견조한 성과를 보여줬다는 점을 보여준다. 투자는 상대적인 것이기 때문에 항상 기회비용, 즉 대안(Best alternative)과 비교해봐야 비교 우위를 따져볼 수 있다. 인플레이션 헷지가 가능한 리츠의 대체 투자자산으로는 원자재, 주식, 금, TIPS 등이 있다. 결론만 말하면, High inflation / Low inflation 상황 모두에서 리츠는 상위권의 성과를 기록했다. 높은 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원자재와 리츠가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으며, TIPS와 금의 성과는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반면, 저물가 상황에서는 원자재가 가장 저조한 수익.. 2021. 3. 21.
리플레이션(Reflation) 트레이드 양상이 뚜렷한 최근 미국 증시 미국의 최근 채권 금리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작년 한때 0.3%까지 (종가 : 0.5%) 하락했던 미국 국채 10년 금리는 어느새 1.58% 수준까지 상승했다. 최근 미국의 장기금리 상승세의 원인을 시장에서는 아래와 같이 분석하고 있다. 경제 성장률에 대한 기대. 전년 동기 기저효과, 연준의 양적완화, 백신보급에 따른 경기 정상화 기대감, 그리고 정부의 경기부양책 확대로 2021년 미국의 경제 성장 전망에 대한 Bloomberg Survey 수치는 전월 기준 4.9%에서 5.5%로 상승했다. 미국의 5.5%의 연간 경제 성장은 1984년 이후 최대치이다. 재정부양 확대에 따른 미국 국채 발행 물량 부담. 2019년 기준 108% 수준이었던 미국의 GDP 대비 부채 규모는 2020년말 기준 129%로 추.. 2021. 3. 6.
게임스탑(GameStop)으로 이제 랠리스탑(Rally Stop)? 코스피가 내리 나흘간 조정을 받았다. 종가 기준 역사적 신고가인 3,200선을 돌파한 이후 다시 2,000 포인트대로 복귀하는 데는 단 나흘밖에 걸리지 않았다. 샴페인도 터트리기 전에 폭락해버린 주식 시장, 무엇이 문제였을까? 이대로 역사적 강세장을 허무하게 마무리 짓고, 지난 10년간 되풀이되어온 박스피로 돌아갈까. 아니면, 일시적 조정을 끝마치고 다시 상승세를 이어갈까. 사실 코스피의 조정 폭이 크긴 했지만, 아시아와 글로벌 주요 증시 모두 조정을 겪었기 때문에 다시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향후 높아진 시장 변동성에 대비하기 위해, 최근 가장 뜨거운 이슈가 되고 있는 기업 게임스탑(GameStop)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국내시간으로 2021년 1월 28일 (현지시간 27일) 새해 첫 FO.. 2021. 1. 30.
728x90
반응형